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wiftui 기본부터 시작하기
    카테고리 없음 2024. 1. 10. 11:07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내 블로그 포스팅을 보는 분들께서는 특정 메서드를 보고 오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내가 타블로그를 들어갔을때 개념설명또한 되어있다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종종했다.

     

    그래서 오늘 부터 내가생각하는 커리큘럼으로 기본 개념을 설명하려고 한다.

     

    오늘은 일단 가장 기본인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한다. 

     

     

    1
    2
    3
    4
    5
     var name: String = "sikwan"
        var age: Int = 26
        var height : Float = 175.6
        var weight: Double = 70.6
        var havePet: Bool = true
    cs

     

     

    쓰다가 날아갔다.. ㅋㅋ

    다시 설명한다면 일단 내가 공부하는 방법으로 먼저 써보았다. 이렇게 쓴후 어떤 형식인지 파악해보자 일단 변수를 선언하는 소스는 varlet 이 있다 두개의 차이점으로는 var 는 변수라는 영어에서 따온것이고 (독자가 생각하는 그 단어맞다)

    let 은 이제부터 ~~~라고 부를게 , 혹은 하자~ 라는 의미로 앞으로 이렇게 부르기로 약속한느낌이다. 즉 두개의 차이점은 변화가 가능하냐 변화가 가능하지않냐에 대해 초점이 있다. 일단 그렇게 하고 뒤에 내가 앞으로 쓰려고하는 변수의 이름을 정해준다 name ,age 등이 그이다. 그 이후 내가원하는 타입을 써주고 그것은 ~ 이다 라고 대입해준다.

    개발자에게 =대입연산자이다 "같다"라는 의미가 절대 아니다.

    String은 문자열 Int는 정수,, 등등 이런이야기는 생략하겠다.

    정 어렵다면 들어가있는 초기값에 모양들을 참고하면 되겠다.

     

     

     

     

    1
    2
    3
    4
    5
    6
    7
    8
    9
    10
    11
      var body: some View {
            VStack{
                Text("\(name)")
                Text("\(age)")
                Text("\(height)")
                Text("\(weight)")
                Text("\(havePet.description)")
            }
        }
    }
     
    cs

     

    이제 1번 사진에서 한것들에 대해서 불러보겠다. 나는 Uiview 에다가 올려서 내가 직접볼수 있도록 했다 uiView 가 아니더라도 print 함수를 사용한다면 터미널에 찍어볼 수 있다.

    이렇게 했을때 결과를 봐보자

     

    이러한 결과들이 출력되어있다.

    내가 위에 1번 사진들에서 넣어왔던 값들을 뷰에서 그대로 보여주고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2번사진에서의 Vstack 덕에 값들이 세로로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스택들에 대한 개념은 후에 천천히 소개하겠다. 

     

    이렇게 오늘 변수를 배워보았다. 다른 포스팅을 보면서 어려운 개념들이있다면 개념 시리즈로 와서 공부를 하고 

    다시 진행하는것을 추천한다.

     

     

    오늘은 여기까지!

Designed by Tistory.